맨위로가기

경고음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고음 문자(BEL)는 ASCII와 유니코드에서 10진수 7, 16진수 0x07에 할당된 제어 문자이다. 캐럿 표기법으로는 ^G로 표시되며, 유니코드에서는 U+2407로 표현된다. C 언어에서는 \a로 표현되며, 'alert' 또는 'audible'의 약자이다. 과거에는 타자기나 초기 컴퓨터 환경에서 알림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운영체제의 터미널 환경에서 벨 소리 또는 시각적 알림을 발생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어 문자 - 공백 문자
    공백 문자는 단어를 구분하고 텍스트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언어와 컴퓨터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활용된다.
  • 제어 문자 - 이스케이프 시퀀스
    이스케이프 시퀀스는 컴퓨터 주변 장치의 상태를 변경하는 문자열로, 초기 보도 코드에서 시작하여 ASCII 표준을 거쳐 발전했으며 터미널, 프린터, 모뎀 제어 등에 사용되고, C 언어에서는 백슬래시를 사용하여 특수 문자를 표현한다.
경고음 문자

2. 표현

ASCII에서 경고음 문자의 값은 7이며 "BELL" 또는 "BEL"로 명명되었다.[3] 유니코드는 제어 문자에 이름을 부여하지 않지만 "ALERT"라는 별칭과 "BEL"이라는 약어를 할당했다. 캐럿 표기법으로 `^G`로 표시할 수 있다. 유니코드에는 문자의 시각적 표현을 위한 문자(␇, ␍)도 포함되어 있다.

5비트 보도 코드에서 BEL은 "숫자" 모드일 때 숫자 11(0x0B)로 표시된다.[3] 코드 0x2F는 EBCDIC에서 사용된다.

벨 문자는 ASCII유니코드에서 10진수로 7, 16진수로 0x07에 할당되어 있다.

2. 1. 캐럿 표기법

ASCII에서 경고음 문자의 값은 7이며, 캐럿 표기법에서는 `^G`로 표시된다.[3] 유니코드에서는 제어 문자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 (U+2407)을 정의하였다.[4]

2. 2. 유니코드

유니코드는 제어 문자의 도형 표현으로 ␇ (U+2407)을 정의한다.[3]

2. 3. 프로그래밍 언어

1972년에 만들어진 C와 파이썬과 같이 C의 영향을 받은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경고음 문자를 `\a`를 사용하여 문자열 또는 문자 상수 안에 넣을 수 있다. 'a'는 "alert"(경고) 또는 "audible"(가청)을 의미하며, `\b`가 이미 백스페이스 문자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4]

3. 사용법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나 MS-DOS, 윈도우에서는 명령 줄 인터프리터를 통해 벨 문자를 출력하여 벨 소리를 낼 수 있다(또는 그에 상응하는 동작).[5]

3. 1. 명령어

오스본 1의 키보드


유닉스 계열 시스템이나 MS-DOS 또는 윈도우에서 사용자는 명령 프롬프트에 다음 명령을 입력하여 벨 소리를 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echo ^G`

여기서 `^G`는 Ctrl 키와 G 키를 동시에 눌러 생성한다. 유닉스에서는 `^G`를 "인용"하기 위해 Ctrl+V를 먼저 입력해야 할 수도 있다.

POSIX 시스템에서는 다음을 사용할 수 있다.

`printf '\a'`

Bash 셸에서는 ANSI-C 인용을 사용할 수 있다.[5]

`echo $'\a'`

ncurses 라이브러리의 일부로 대부분의 유닉스/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tput 명령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tput bel`

프로그램은 BEL 문자를 터미널에 출력하여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리눅스에서는 다음 명령으로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7]

`echo -e "\a"`

최신 시스템에서는 소리가 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화면 깜빡임과 같은 시각적 표시를 하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을 수 있다.

3. 2. 현대 시스템에서의 동작

유닉스 계열 시스템이나 MS-DOS 또는 윈도우에서 사용자는 다음 명령을 명령 프롬프트에 입력하여 벨이 울리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echo ^G

여기서 ^G는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G 키를 입력하여 생성된다. 유닉스에서는 사용자가 먼저 Ctrl+V를 입력하여 ^G를 "인용"해야 할 수도 있다.

POSIX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

printf '\a'

그리고 Bash 셸에서는 ANSI-C 인용을 사용할 수 있다.[5]

echo $'\a'

또 다른 방법은 대부분의 유닉스/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ncurses 라이브러리의 일부로 사용 가능한 tput 명령을 사용하는 것이다.

tput bel

프로그램은 BEL 문자를 터미널에 출력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최신 시스템에서는 소리가 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화면을 깜빡이는 것과 같은 시각적 표시를 하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을 수 있다.

4. 한국에서의 사용

과거 한국에서는 타자기에서 경고음을 내거나, 초기 컴퓨터 환경(예: 도스 시절)에서 특정 상황에 대한 알림을 위해 벨 문자가 사용되었다.

현재는 윈도우,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 등 다양한 운영체제의 터미널 환경에서 벨 문자를 출력할 수 있으며, 그 동작 방식은 시스템 설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의 명령 프롬프트나 PowerShell에서는 기본적으로 벨 소리가 나지만, 사용자가 설정을 변경하여 소리를 끄거나 시각적 알림으로 바꿀 수 있다.

벨 문자를 출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유닉스 계열 시스템이나 MS-DOS 또는 윈도우에서 사용자는 다음 명령을 명령 프롬프트에 입력하여 벨이 울리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

echo ^G

```

여기서 `^G`는 키를 누른 상태에서 키를 입력하여 생성된다. 유닉스에서는 사용자가 먼저 +를 입력하여 `^G`를 "인용"해야 할 수도 있다.

  • POSIX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


```

printf '\a'

```

  • Bash 셸에서는 ANSI-C 인용을 사용할 수 있다.[5]


```

echo $'\a'

```

  • 또 다른 방법은 대부분의 유닉스/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ncurses 라이브러리의 일부로 사용 가능한 tput 명령을 사용하는 것이다.


```

tput bel

```

프로그램은 BEL 문자를 터미널에 출력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최신 시스템에서는 소리가 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화면을 깜빡이는 것과 같은 시각적 표시를 하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을 수 있다.

  • 리눅스에서는 다음 명령으로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echo -e "\a"

참조

[1] 웹사이트 Baudot http://chem.ch.huji.[...] 2009-02-01
[2] 웹사이트 Teletype Communication Codes http://www.baudot.ne[...] Baudot.net 2008-07-11
[3] 웹사이트 The Lorenz Cipher and how Bletchley Park broke it http://www.codesandc[...] 2016-07-09
[4] 웹사이트 2. Lexical analysis — Python 2.7.18 documentation https://docs.python.[...] 2021-02-05
[5] 웹사이트 ANSI-C quoting https://www.gnu.org/[...]
[6] 웹사이트 Baudot http://chem.ch.huji.[...] 2009-02-01
[7] 웹사이트 ANSI-C quoting http://www.gnu.org/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